용주사 천보루
- 지정번호
- 문화재자료 제36호
- 구분
- 문화재자료
- 수량
- 0
- 소유자
- 용주사
- 주소
- 경기 화성시 송산동
1983년 9월 19일 경기도문화재자료 제36호로 지정되었다. 용주사는 1790년(정조 14) 정조가 장헌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세웠다. 이때 함께 세워진 천보루는 대웅보전(경기도문화재자료 35) 안마당으로 들어가는 문루이다.
궁궐의 누각처럼 웅장한 천보루의 양옆에는 사대부집의 행랑채 같은 요사채가 길게 늘어서 있다. 모두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전면으로 1칸만큼 돌출시킨다. 나머지 2칸을 양옆의 요사채와 바로 연결시켰으며, 뒤쪽 좌우에 누의 마루로 오르는 계단을 두었다.
전면 1열 양옆에는 사각형의 장초석(長礎石)을 세우고 그 위에 짧은 기둥을 놓아 마루귀틀을 받도록 되어 있다. 나머지 부분은 요사채의 기단 위에 바로 초석을 놓고 누하주(樓下柱)를 세웠다.
따라서 전면에서는 양옆의 요사채 기단과 천보루의 누 하부가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입면에서도 대웅보전으로 통하는 문루로서의 기능을 확실하게 나타내었다. 또한 대웅보전에서 보면 천보루가 단층 건물로 보이도록 하여 양옆의 요사채와 함께 마당의 윤곽을 단정하게 정리하였다.
전후로 길게 귀틀(마루를 놓을 때 먼저 굵은 나무로 가로나 세로로 짜 놓은 틀)을 건너질러 누 마루를 만들고, 누 하부의 내부 기둥은 생략하였다. 누 마루 전면과 양옆 돌출 부분에만 난간을 돌려서 만들었으며, 대웅전 쪽에는 마루를 내지 않고 바로 머름 위에 창호를 구성하였다. 공포는 연봉이 조각된 이익공계로 되어 있고 초각 문양은 대웅보전과 같으며,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출처: 두산백과